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by 쓰담쓰담냥이 2025. 9. 8.

개기월식이란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엄브라)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이고, 이때 대기 산란으로 달이 붉게 보여 블러드문이라고도 부릅니다. 오늘 새벽(9월 8일) 한국 전역에서 개기월식이 있었고 최대식은 오전 3시 11분경이었습니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6년 3월 3일입니다.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한눈에 요약

  • 개기월식 정의: 달 전면이 지구 본그림자에 들어가는 월식입니다. 맨눈으로 안전하게 관측해도 됩니다. 붉게 보이면 블러드문이라고 부릅니다.
  • 오늘 새벽 관측 요점(한국): 개기식 02:30:24 시작 → 최대식 03:11:48 → 03:53:12 종료. 월식 전 과정은 01:26:48 시작해 05:56:36에 모두 끝났습니다.
  • 다음 개기월식 날짜: 2026년 3월 3일(화, KST 기준). 2026년 8월 27~28일에는 부분월식도 있습니다.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달이 태양-지구-달 일직선에서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밝기가 줄어드는 현상이 월식입니다. 그중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 전면을 가리면 개기월식이라고 합니다. 태양을 직접 보는 일식과 달리 달은 안전하게 맨눈·쌍안경·망원경으로 관측해도 됩니다.

왜 붉게 보이나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햇빛이 레일리 산란으로 파란빛이 산란되고 빨간빛만 휘어져 달에 닿기 때문입니다. 대기 중 먼지·에어로졸이 많을수록 붉기가 더 짙어질 수 있습니다.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블러드문이란?

블러드문은 개기월식 때 붉게 물든 달을 가리키는 통칭입니다. 과학적 원인은 위와 같고, 별도 천문학적 분류가 아닌 대중적 표현입니다.


오늘 새벽(9/8) 한국 개기월식 정리

  • 관측 가능 지역: 한국 전역 포함 아시아 대부분, 호주, 동유럽 일부 등.
  • 진행 시각(한국천문연구원 기준, KST)
    • 반영식 시작(P1): 01:26:48
    • 부분식 시작(U1): 02:12:33
    • 개기식 시작(U2): 02:30:24
    • 최대식: 03:11:48
    • 개기식 종료(U3): 03:53:12
    • 부분식 종료(U4): 04:31:01
    • 반영식 종료(P4): 05:56:36 
  • 관측 팁 요약: 남서쪽 하늘, 지평선 가림 없는 곳. 사진은 삼각대, 200~400mm 망원·단렌즈 추천. 날씨가 흐리면 과학관·천문대 생중계 활용.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한국천문연구원(KASI) 바로가기


2026년 개기월식 언제 보나요?

  • 날짜: 2026년 3월 3일(한국 시각) 개기월식. 전 세계 가시권과 상세 시각은 지역별로 다릅니다. 관측 가능 여부와 국지 시각은 가까워지면 한국천문연구원 공지 또는 timeanddate의 지역별 지도를 확인하면 됩니다.
  • 참고 일정: 2026년 8월 27~28일 부분월식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개기월식이란? 블러드문이란?|2026 개기월식 날짜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Q&A

Q1. 블러드문은 위험하지 않나요?
A. 위험하지 않습니다. 일식과 달리 달을 보는 것이므로 보호안경이 필요 없습니다. 

 

Q2. 스마트폰으로도 찍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야간 모드 + 삼각대 + 타이머(또는 리모트)를 권장합니다. 달이 작게 나오니 달을 크게 담고 싶다면 망원 어댑터나 크롭 촬영이 유리합니다. 관측 장소의 가로등·건물을 피하세요. 일반 팁이며 공식 가이드라인은 없습니다.

 

Q3. 오늘 붉기가 지역마다 달랐던 이유는요?
A. 대기 상태와 고도 차이 때문입니다. 먼지·연무·구름이 많으면 더 어둡거나 붉게 보일 수 있습니다.

 

Q4. 다음 관측 공지는 어디서 보나요?
A. 한국천문연구원 보도자료·학습관 페이지에서 월식 일시·가시권 지도를 확인하면 됩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 바로가기


관측 체크리스트

  • 시야: 남서쪽 지평선 트인 곳 선택합니다.
  • 장비: 맨눈 가능, 쌍안경·소형 망원경 있으면 디테일이 좋아집니다.
  • 기록: 시·분 단위 타임랩스, 2~5분 간격 연사로 부분식→개기식→부분식 변화를 담아보세요.
  • 대안: 흐리면 과천·광주과학관 등 온라인 생중계를 이용합니다

마무리

정의는 간단합니다. 개기월식 = 달 전면이 지구 본그림자에 들어간 상태, 블러드문 = 그때 대기 산란으로 붉게 보이는 달입니다. 오늘 새벽 한국에서도 전 과정이 관측 가능했고, 최대식은 03:11경이었습니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6년 3월 3일로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반응형